정밀의료 향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활동량부터 유전체 정보까지 통합

IoT, Bigdata(HIS+Lifelog+유전체), 분석, Bio Sensor 등 다양한 기술과 정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의미있는 개인맞춤형 Healthcare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기에 기술과 정보들이 연결될 수 있는 인프라 확보가 가장 최우선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기사 원문>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혁신이 시작됐다. 단순 신체·운동정보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질병, 생활습관 유전체 정보가 합쳐진 차세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이 시도된다.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을 바탕으로 정부-병원-기업이 공동전선을 구축해 모바일 기반 정밀의료 구현 주도권 확보에 나설 필요가 있다.



16일 헬스케어 업계에 따르면 운동량, 임상, 라이프로그, 유전체 정보가 한데 어우러진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이 시도된다. 전 세계적으로 구현 사례가 없는 만큼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나선다면 정밀의료 새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출시된 모바일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앱)은 30여종이 넘는다. 대부분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가 목적이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단말기를 통해 측정·입력된 신체, 운동, 식사량 정보가 기반이다. 수집된 정보가 운동, 신체 데이터뿐이다 보니 맞춤형 건강관리가 어렵다.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병원과 협업해 전자의무기록(EMR)을 연동해 질병정보를 추가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나오는 개인 습관과 유전체 분석 정보까지 합치는 시도까지 착수했다.

휴레이포지티브는 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헬스 스위치` 개발을 위해 유전체 분석 기업 신테카바이오와 손잡았다. 회사가 수집한 운동량, 신체정보 위에 신테카바이오가 분석한 유전체 정보를 합칠 계획이다. 개인 유전적 특성을 반영해 식후 혈당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최영락 휴레이포지티브 책임 연구원은 “일반적인 활동량 정보는 무결성 측면에서 허점이 많았지만, 유전체 정보까지 합쳐진다면 의미 있는 클린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며 “활동량, 임상, 생활습관, 유전체 정보까지 합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휴레이포지티브가 개발한 모바일 헬스케어 앱

정부도 4대 주요 데이터를 합친 정밀의료 구현에 착수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2641억원을 투입해 차세대 병원정보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돼 예비타당성 검토 중이다.

사업에 핵심은 병원정보시스템(HIS)을 중심축으로 신체·운동, 임상, 라이프로그, 유전체 등 4대 정보를 합친 통합 플랫폼이다. 주요 데이터가 저장된 DB를 연동해 환자별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는 게 목적이다.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HIS를 중심으로 생활습관, 유전체 정보를 묶어 정밀의료를 구현하는 게 정부 사업 핵심”이라며 “미국, 스웨덴, 핀란드 등에서도 이제 막 착수한 만큼 우리나라가 정부, 기업, 병원이 협업해 선도 모델을 만든다면 정밀의료를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크로젠, 테라젠이텍스, 랩지노믹스 등 유전체 분석 기업도 병원,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기업과 플랫폼 개발을 논의 중이다.

<출처 : http://www.etnews.com/20161116000139>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들이 실패하는 이유

DTC 유전자검사역량 인증제가 가져올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