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FinTech인 게시물 표시

의료, 제약, 기기 등 이종산업 결합 ... 디지털헬스케어 미래

이미지
데일리메디는 지난 12일 병원, 제약, 의료기기 등 헬스케어 전 산업 분야 종사자의 역량 강화와 전략 수립을 지원키 위해 산업전문가들을 초빙하여 '2023 대한민국 헬스케어 포럼'을 개최했다. 이동훈 대표 "메디치 효과, 셀프메디케이션 등 디지털 트렌드 주목"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가 의료 · 제약 · 바이오 · 기기 산업의 결합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 대표적 사례가   메디치 효과 (Medici effect) 다 . 산업 결합이 디지털헬스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이는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까지 이어지게 된다는 해석이다.   코이헬스케어 이동훈 대표는 최근 데일리메디가 주최한 '2023 대한민국 헬스케어 포럼'을 통해 ‘컨버전스 디지털 헬스케어’를 발표하고 4차산업의 핵심인 디지털헬스 융합을 소개했다.   메디치이펙트 서로 상관없는 것들이 모여 가치 및 시너지를 만든다는 의미다. 대표적 성공사례가 바로 카카오 모빌리티다. 카카오톡을 기반 플랫폼을 통해 콜택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론칭했다.   이동훈 대표는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혁명을 토대로 태동한 마켓 트렌드를 알아야 한다”며 “4차 산업의 특징은 사물 지능화, 개인 맞춤형, 초연결성, 산업 간의 경계 파괴”라고 말했다.   결국 이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표 영역이 바로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이다. 4차산업의 핵심 요소를 모두 갖춘 만큼 기타 산업들과의 융합은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금융, 보험, 통신, 제약‧바이오, 클라우드, 주거 서비스, 상거래, 식품,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산업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GS 건설과 혈당측정기 제조사인 필로시스의 협업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언뜻 보면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GS건설이 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한 미래형 헬스케어 개발을 위한 협력이다.   주요 기능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논쟁이되고 있는 이유

이미지
오랜 기간이 걸려 6월 15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 국회 정무위 통과하였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21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줄이고, 청구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은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금 청구 편의를 높이고, 보험사들의 보험금 지급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 보험금 청구를 위해서는 심사 청구, 심사 단계, 보험금 지급 단계에 소비되는 물리적(증명서 발급서류 확인, 증명서 발급 비용 등), 시간적(증명서 발급을 위한 병의원 재방문, 청구를 위한 증명서 준비 시간으로 인한 보험 심사 기간 축소 등) 비효율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에 금융소비자연맹, 한국금융연구원, 한국보험연구원 등 보험업계에서는 찬성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금 청구 편의를 높이고, 보험사들의 보험금 지급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에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외 일부 소비자단체는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보험사들이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거나 지연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환자의 건강정보가 보험사에 전자적인 형태로 넘어가 악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서 짚어볼 필요가 있는 점들이 있다. 첫째 실손보험 심사청구와 심사를 전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심평원에서 전자적 형태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라는 업무는 이미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 분야에서 EDI라는 시스템으로 오래전부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시간적, 물리적인 효과는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환자 정보가 민간보험사들에게 넘어가 의료민영화에 발단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자동차보험을 통해 자동차 사고가 나면 대물과 대인(신체 손상으로 병의원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사물인터넷 패러다임이 바뀐다”

이미지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뀐다라는 말은 이미 시장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야기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핀테크, 빅데이터, O2O, 제조업 등 모든 산업에 걸쳐 서비스 중심으로 혁신이 될 것이라 본다. 다만, 패러다임 변화의 핵심인 서비스를 누가 더 정확히 빨리 이해하고 고객에게 다가 갈 수 있는지가 승자를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기사 원문] LG CNS 엔트루월드(Entrue World) 2015 개최 LG CNS(대표: 김대훈 사장)가 4월 21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업계 및 학계 주요 관계자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의 IT콘퍼런스 ‘엔트루월드(Entrue World) 2015’를 개최하고, 최근들어 이슈의 중심에 선 사물인터넷(IoT)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가 밝힌 사물인터넷 미래는 소프트웨어로 대변되는 서비스 중심으로 중심의 넘어가고 있다는 것. 이번 엔트루월드는 ‘스마트한 사물인터넷, 스마트 비즈니스로의 변화를 가속화하다’(The Internet of Smart Things: Accelerating Smart Business)라는 주제로, 스마트 기술의 융복합으로 구현되는 IoT솔루션과 서비스를 소개하고, IoT가 비즈니스에 가져올 변화를 제시했다. 김대훈 LG CNS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LG CNS는 엔트루월드를 통해 2010년부터 ‘컨버전스’, ‘빅데이터와 고급분석’, ‘초연결’, ‘스마트 테크놀로지’ 등 IT와 경영혁신의 변화 패러다임을 선제적으로 제시하며 이에 대응할 구체적인 전략과 해법을 제시해 왔다”고 말하고, “올해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초연결 기술, 빅데이터 등 스마트 기술의 총화인 IoT가 어떻게 산업에 적용되어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지, 그 사례와 솔루션을 보여 줄 것”이라며 행사의 의미를 밝혔다.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사물인터넷 확장, 새로운 가치 창출 김대훈

앤섬, 시그나 60兆에 인수추진…美건강보험 새판 짠다

이미지
거대 공룡 건강관리서비스 기관들이 탄생하는건가? 이들 기관이 이렇게 몸집을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란 생각을 잠시 해본다 이들 기관의 공통점은 보험사란 점과 최근 오바마케어를 등에 업고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있다 전자는 이미 포화 상태의 시장이고 후자는 새로 탄생하는 블루오션 시장이라 볼 수 있는데 과연 이들이 자국내 시장에만 만족하고 공격적인 몸집 불리기를 하는 것인가 의문이 든다. ICT기술의 발달로 무역의 국경이 점점 더 사라지고 있는 현실을 비추어 볼 때 이들의 강력한 자본과 서비스가 다른 국가의 의료 서비스를 점령하는 것은 시간 문제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기사 원문 ] 앤섬, 시그나에 29% 웃돈 제안..합병땐 가입자 5300만 1위 유나이티드, 애트나 노릴듯..휴매나 등도 움직임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미국 2위 건강보험사인 앤섬이 경쟁사인 시그나에 인수를 공식 제의했다. 총 인수대금이 470억달러(약 52조8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건강보험업계 역대 최대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여러 업체들의 인수합병(M&A) 움직임이 줄을 이으면서 미국 건강보험업계도 대대적인 새판짜기가 이뤄질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0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앤섬이 후발 건강보험사인 시그나에 470억달러 규모의 인수 제안을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주당 184달러를 지불하기로 한 시그나의 최근 20일간 평균 주가에 29%의 프리미엄(웃돈)을 얹은 것이다. 인수대금 가운데 31%는 앤섬의 주식으로 대체 지급되고 나머지는 모두 현금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또 앤섬이 함께 떠안게 될 시그나 부채까지 합칠 경우 총 인수금액은 538억달러(약 59조61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렇게 합쳐지는 법인은 시그나 주주들이 24%의 지분을 가지게 되고 총 보험 가입자도 5300만명에 이르게 돼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법 (건강 검진 + 소득 분석 = 보험료 뚝 떨어져)

이미지
최근 금융권에서 개인정보 인식이 안되는 범위 내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지난 글에 기재했던 내용처럼 금융권이 기존에 금융 상품에 사용했던 개인 정보인 개인 소득, 신용 정보, 건강 정보(보험 상품의 경우)를 활용해서 상품 개발, 판매에서 비금융 정보의 개인정보(의료 정보, 교통 정보, 날씨 정보 등)로 확대함으로써 진정한 핀테크(기술+금융) 산업으로 첫 발을 딛는 것이다 당연히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도 필요할 것이며, 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공하면 금융권에서는 핀테크, 의료 분야에서는 헬스케어가 되는 것이라 본다. 핀테크, 헬스케어 2가지의 공통점은 고객에게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궁극적으로 라이프 케어를 지향한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서비스 디자인을 하면서 필요한 자질은 시장은 이종 산업간의 융합을 원하기에 한 분야의 전문성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두루 경험을 하여 이종 산업을 하나로 융합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 할 수 있는 능력, 즉 코디네이터와 같은 능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코디네이터와 같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많이 모이면 기사에 나온 문제점인 융합 상품의 수익 모델(융합 서비스 모델이 이종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적은 전문가가 그렸기 때문)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다. 서비스 모델을 그리기 전에 상대방에 대한 이해부터 하는 것이 디자인의 첫 걸음이라 생각한다.   [ 기사 원문 ] #사례 1.  30대 직장인인 A씨는 1000만원짜리 적금 만기를 앞두고 어떻게 할지 고민이다. 다시 적금을 넣자니  금리 가 너무 떨어진 것 같고, 주식을 하자니 불안하다. 다음달에는 아이도 태어날 예정이다. A씨는 이 모든 고민을 온라인에서 해결하기로 했다. 매달 들어오는 월급 액수와 현재 통장 잔액, 지출 내역서 등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자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인 ‘로보 어드바이저’가 금리 변동 상황과 실시간 금융 동향을 분석해 ‘처방전’(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