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대상 '1대1 맞춤형'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나온다

정부 주도로 개인건강기록 기반 시스템 사업을 시행한다고 한다.

그동안 병원 정보의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업체별들이 각자 정보를 수집하고 서비스를 했어야 하는데 정부 주도로 추진함에 따라 많은 부분이 해결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의 종류의 다양성과 서비스 질이 높은 건강관리 서비스들이 출시되길 기대한다.



[ 기사 원문 ]

국민건강 모바일 관리 시대 - 정부, 모바일 의료서비스 시스템 구축

산업부, 건보공단 등 손잡고 100만명 정보 빅데이터화
내년 시범사업후 전국민 확대 
더운 여름에 심장 약한 사람 외출 땐 심부전 가능성 경고
'13대 산업엔진' 첫 프로젝트 
영유아·만성질환자 등 특정 증상 나타나면 병원 연결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시작한다. 건강검진·진료 기록을 기반으로 성별, 연령별, 직업별 특성을 분석한 뒤 각 개인에게 최적화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내년 초 우선 1만3000명에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시범 제공할 계획이다. 2017년에는 전 국민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강보험 빅데이터 활용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서울대병원 등 국내 5개 대형 병원, 라이프시맨틱스 등 16개 헬스케어 관련 기업과 손잡고 ‘PHR(개인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사업을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목표로 산업부가 선정한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의 첫 번째 사업이다. 

산업부는 우선 건보공단이 보유한 100만명의 건강검진 자료와 대형 병원이 갖고 있는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성별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통계를 분석, 각 개인에게 제공할 건강정보를 만드는 작업이다. 기본적인 데이터 작업이 완료되면 내년 초 개인별 특성에 맞는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예컨대 서울 강남 지역에 사는 30대 후반 직장 남성의 건강 통계, 대형 병원의 해당 유형에 대한 진료기록에 각 개인의 생활습관(음주, 수면시간 등) 및 신체 특성(키, 몸무게, 체지방률 등)을 적용하면 이 사람이 주의해야 할 질병과 필요한 건강관리 방법이 나온다. 

이 정보를 개인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지를 테스트하는 게 내년 6월까지 진행하는 1단계다. 내년 7월(2단계)부터는 상급종합병원, 전문병원 등의 참여를 대폭 늘린다. 3단계가 시작되는 2017년 7월에는 동네 병원까지 참여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만성질환자 밀착관리 가능 

데이터가 워낙 방대해 일반적인 건강정보는 물론 특정 질환·계층에 대한 맞춤 서비스도 가능하다.


정부가 내년 초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는 분야는 영유아 일반인 만성질환자 등 3대 분야 건강관리 서비스다. 영유아 건강관리는 예방접종 시기, 주의해야 할 증상, 월별 발육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이런 서비스는 병원의 육아수첩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병원마다 정보 수준이 천차만별인 데다 각 개인이 일일이 신경 쓰고 챙기지 않으면 놓치기 쉽다. 정부가 개발 중인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중요한 예방접종 일정을 알려주는 것은 물론이고 수시로 자녀의 건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만성질환자 관리 서비스는 고혈압, 당뇨, 심부전 등 만성질환을 앓는 사람을 상대로 1 대 1 밀착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 천식약을 먹고 심장 기능이 약한 가족력이 있는 40대 여성이 무더운 여름날 장시간 외출할 경우 ‘당장 그늘로 가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심부전 위험이 있다’는 경고가 스마트폰에 뜬다. 또 더위가 심해지고 특정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과 직접 연결해준다. 


대형 병원 진료기록 첫 상용화 

2단계인 2016년 7월 이후엔 대부분 대형 병원과 전문병원, 동네 병·의원이 참여하기 때문에 지역별, 질환별로 더욱 세분화된 서비스는 물론 개인별 밀착 관리가 가능해진다. 산업부는 국내 대형 종합병원 5곳 이상이 참여한 최초의 헬스케어 서비스라는 점만으로도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정보공개를 꺼린 대형 병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환자 진료기록 등 고급정보가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상용화되는 최초의 사례이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개인정보 침해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한편 개인에게도 정보 제공 동의 과정을 반드시 거칠 계획이다.


김영성 산업부 R&D(연구개발)전략기획단 전문위원은 “과거 주사를 맞았거나 수술을 한 기록은 물론 개인과 가족의 병력도 분석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할 음식, 주의해야 할 생활습관까지 알려줄 수 있다”고 말했다.

■ PHR

personal health record의 약자. 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진료·검사 정보와 스마트폰 등으로 수집한 활동량 데이터, 스스로 측정한 체중·혈당 등의 정보를 모두 취합해 사용자 스스로 열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한 건강기록 시스템을 뜻한다.



출 처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7190434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들이 실패하는 이유

DTC 유전자검사역량 인증제가 가져올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