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헬스케어 분야에서 활용

AI가 냉장고 속 식재료 파악해 요리 추천


LG전자는 2020년 1월에 개최한 CES 2020에서 인공지능(AI)의 발전 단계를 4단계로 정의했다. 1단꼐 효율화, 2단계 개인화, 3단계 추론, 4단계 탐구로 나누어 인공지능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현재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단순 기술 성능 발전에 포커스를 맞춘 1단계 효율화의 위치에 있다. 발전 단계가 높아질수록, 인공지능은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고 학습을 통해 더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LG전자의 영상인식 기술인 '비전팩'은 오늘의 2~3단계 수준의 AI 기술이다.

영상 센서 등을 통해 전달받는 이미지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현재의 상황을 . 더잘 판단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비전팩이 인공지능의 '눈'을 담당하는 셈이다. 이는 2단계 개인화와 3단계 추론 인공지능에 해당하는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집에서 요리를 하려면 제일 먼저 식재료가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외부에 있다면 냉장고에 남아있는 재료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스마트 냉장고가 해결해줄 수 있다. 비전팩 기술이 탑재돼 있는 스마트 냉장고는 LG 씽큐 앱을 통해 냉장고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식재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요리가 가능한지 쉽게 알 수 있다.

[LG전자 : 비전팩 기술로 냉장고 속 식재료를 외부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요리가 가능한지 알 수 있다]


AI가 당뇨 환자의 식단 관리를 도와준다.
 

비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면 음식의 종류, 칼로리,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이러한 FoodLens AI 기술은 당뇨 환자와 같은 식습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두잉랩 : AI Foodlens]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유전적, 체질, 식습관에 따라 개인별로 혈당의 변화가 다르다. 이러한 변화를 FoodLens AI 기술과 연속혈당측정기 기술이 결합함으로써 개인별 주의해야하는 음식을 알 수 있도록 해주어 당뇨 환자가 건강관리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덱스콤 연속혈당측정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보통신기술(ICT)의 의료서비스 적용 사례

사용자와의 공감 '인터랙티브 디자인'

양궁 심장박동수는 어떻게 측정할까? 원격 광혈류측정 rPPG (Remote photoplethysmography)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