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 급부상... 보험사 신성장동력 찾는다
보험업계 미래 먹거리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급부상 중이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건강'을 키워드로 한 삶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면서이다. 이에 보험사들은 헬스케어 서비스를 신성장동력으로 보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는 전략을 내걸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 발달과 맞물려 전 세계 보험사들이 디지털 헤스케어 서비스 강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헬스케어 서비스는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방, 관리, 건강관리, 증진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포괄할는 서비스를 말한다.
보험사의 헬스케어 진출을 위한 금융제도 개선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앞서 2020년 말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부수 업무로 허용했다. 보험사들에게 보험계약자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또 헬스케어 전문회사를 자회사로 소유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됐다.
보험사가 헬스케어 산업에 참여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보험계약자의 건강 리스크 관리는 곧 보험회사의 손해율 개선 등 수익성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주요 제도 개선 내용]
1. 규제 완화
- 네거티프 규제 원칙 도입 : 보험업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의료법 등에서 금지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규제 완롸
- 업무 범위 명확화 : 보험사가 제공할 수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 사업 추진의 불확실성을 해소함
- 플랫폼 기반 서비스 허용 : 보험사가 플랫폼을 기반으로 종합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함
- AI 기반 서비스 활용 : 인공지능을 활용한 운동 코칭 서비스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함
- 헬스케어 전문 자회사 설립 : 보험사가 헬스케어 전문 자회사를 설립하여 사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
- 개인 건강 정보 활용 : 마이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개인의 건강 정보를 활용하여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함
해외 주요국, 디지털 기술 접목해 헬스케어 사업 고도화
보험 업계에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보험사들도 각국의 의료환경에 맞게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요가 증가해 '디지털 헬스케어'가 급성장했다.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보면, 중국은 의료 접근성에 대한 도시와 농촌의 격차가 심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중국 정부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를 위해 의료 기관의 온라인 처방, 약물 배송 등을 추진했다.
중국 최대 보험사인 평안보험은 2014년 온라인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터'를 설립했다. 이후 고객 수요가 높은 원격 의료서비스를 기반으로 고객을 확보해 중국 최대 원격진료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또한 플랫폼 이용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모회사의 보험상품을 교차 판매하기도 했다.
일본의 경우 급격한 고령화로 요양, 간병 사업이 주요 헬스케어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대형 손해보험사인 손보홀딩스는 2015년 요양 사업에 진출한 후 인수합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2018년 자회사 솜포케어를 설립했다. 솜포케어는 오프라인 요양 서비스에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요양, 간병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미국은 보험사의 손해율 관리, 상품 개발 등을 중심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남아공 최대 보험사인 디스커버리는 온라인 헬스케어 플랫폼 '바이탈리티'에서 고객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실질적인 건강관리를 지도해주고 있다. 또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건강증진형 보험상품을 제공하고, 고객 건강 개선에 따라 손해율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보험 본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관련 기사 : https://www.economidaily.com/view/202205310801426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