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게임 체인저 노리는 구글
업계 내 경쟁 관계에만 머무르는 업체들은 결국 더 강한 포식자들에게 잡아 먹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헬스케어 산업 전반적인 이해와 타 산업과의 상생 모델 개발이 필수가 될 것이며, 그에 대한 준비를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존재 유무도 결정될 것이다. [ 기사 원문 ]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는 IT 대기업 구글. 구글의 사명은 세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화해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을 여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색엔진으로 시작한 구글은 ‘구글 맵스’를 통해 전 세계 지리정보를 모으고 ‘구글 북스’를 통해 책 내용을 모으고 있다. 사람들의 영원한 관심거리인 건강 관련 정보도 구글의 미션을 벗어나지 못한다. 구글은 2008년 개인들이 자신에 대한 건강정보 및 의무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개인의무기록(PHR) 플랫폼인 ‘구글 헬스’를 야심차게 시작했다. 구글의 검색엔진, 지메일 등을 사용하는 넓은 가입자 기반과 검색광고를 통해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 그리고 의사나 병원 중심의 의료체계를 소비자 중심으로 바꿔 놓겠다는 강력한 명분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구글 헬스는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다 2011년 서비스를 종료했다. 구글 헬스가 실패한 원인으로는 의료기관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한 점이 꼽힌다. 또 개인이 자신의 의무기록을 끌어오는 것이 쉽지 않고, 의료정보에 대한 법적 규제가 까다롭다는 점 등도 한 몫 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구글 헬스에 의무기록을 올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개인의 이득이 불확실해 의무기록을 올리는 데 따른 번거로움을 넘어서지 못했다. 구글글래스로 헬스케어와 다시 조우 이후 스마트폰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와 구글 플레이를 통해 모바일의 강자로 자리매김한 구글은 예기치 못하게 다시 한번 헬스케어 사업과 조우하게 된다. 스마트폰 다음의 웨어러블 컴퓨터로 야심차게 내놓은 구글글래스가 의료계에서 각광 받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