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의 게시물 표시

美 심장·심장병협회, 고혈압 기준 하향 조정 "130 이상이면 고혈압"

이미지
고혈압 기준을 마지막으로 조정한 2003년 이후 고혈압 기준은 140/90mmHg 였으나, 이번 기준 조정으로 130/80mmHg로 기준은 더욱 낮아졌으며, 미국 기준으로 건강군이었던 3,100만명이 이번 기준 조정으로 고혈압 환자로 편입되었다. [기사 원문] 미국 심장건강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와 심장병학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가 고혈압 기준치를 하향 조정했다. 이 같은 기준치 변경에 따라 '고혈압' 환자수가 대폭 증가하게 됐다. 13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 등 현지 언론은 미 심장협회와 심장병학회가 고혈압 기준을 130/80mmHg 이상으로 낮췄다고 보도했다. 기존에는 140/90mmHg 이상일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됐다.  심장 전문가들은 정상 혈압 기준치보다 현저하게 낮은 혈압이 심장 마비와 뇌졸중의 위험뿐 아니라 사망 위험도를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옴에 따라 고혈압 기준을 하향 조정했다고 NYT는 보도했다. 심장협회와 심장병학회가 마지막으로 혈압 기준을 조정한 것은 지난 2003년이다. 고혈압 기준치가 낮아짐에 따라 45세 이하 미국 남성 중 고혈압으로 분류되는 미국인은 3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45세 이하 미국 여성 중 고혈압이 있는 여성은 2배로 늘어난다. 새로운 기준 마련에 관여한 로버트 케리 버지니아 의대 교수에 따르면 고혈압이 있는 미국인은 7200만명에서 1억300만명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혈압약을 복용해야 할 정도로 고혈압이 심한 미국인은 420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혈압은 흡연 다음으로 심장마비와 뇌졸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운동과 식습관 개선, 약물 치료를 통해 혈압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4/2017111402554.html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5년째 '제자리걸음'

이미지
답답한 규제로 묶인 제도와 신규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전문가들과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주도하는 R&D는 결국 기업들의 도전보다는 안전적으로 프로젝트를 성공?(기존 기술으로 재탕 삼탕)시키는 것이 목표가 되어버리기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라 생각한다. [ 기사 원문 ]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중요한 신성장 분야로 떠올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9일 내놓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 수는 매년 늘고 있지만, 성장은 답보 상태라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기업 수는 2010∼2015년 연평균 5.8%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현재 약 500개에 달한다. 분야별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53%)나 부품(24%)을 만드는 하드웨어 기업이 주를 이뤘고, 진단이나 건강관리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전체의 6%에 그쳤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총매출액은 2015년 기준 약 101조원으로 5년 전(100조원)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부분 매출은 하드웨어·플랫폼 관련 기업에서 발생했다. 전체 산업에서 진단이나 건강관리 분야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매우 미미했다. 또 2010∼2015년 평균 부채비율(기업의 자산 중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 이상인 기업 수 비중은 콘텐츠 개발 분야 76%,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분야는 67%에 육박해 이들 분야에서의 기업 부실이 우려됐다.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이었다. 특히 진단이나 건강관리 분야 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2015년 기준)는 각각 48명과 17명에 그쳤다. 보고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관련 법·제도와 정책 조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 거버넌스 체계를 재확립해야 한다"며 "특

미래의 헬스케어 "보험설계사는 없어진다"

이미지
이미 챗봇, 딥런닝, 빅데이터 등 다양한 융합헬스케어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양질의 데이터를 모으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 기사 원문 # [마이리얼플랜 칼럼] 2030년 어느 날, 보험가입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후 보험금을 따로 청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병원을 나온 지 몇 분 후 통장에 보험금이 지급된다. 보험금의 청구업무와 보험금 심사가 병원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심사까지 인공지능으로 처리된 것이다.   보험계약에 대해 문의 하고 싶어도 바쁜 직장인이라면 자신이 가입한 보험회사 콜센터를 주중에 이용하기란 쉽지 않다.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챗봇(Chatbot)이 있다면 해결할 수 있는 일이다. 일본의 한 보험사는 보험금 청구 직원 일부를 이미 AI로 대체되었고, 우리나라도 몇 보험사는 카카오톡을 통한 챗봇이 도입되어 있다.  보험과 헬스케어산업의 결합은 안성맞춤이고 이미 진행형인 경우도 많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와 결합한다면 가입자의 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이는 건강이 나빠질 것에 대비하는 게 아니라 미리 건강을 지키는 선제적인 개념이어서 긍정적이다. 웨어러블 기기에서 얻은 정보를 반영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보험상품이 나올 수 있다는 상상도 해볼 수 있다.   보험설계사도 없어질 수 있다고 한다. 빠르면 5년, 늦으면 10년 이내에 인공지능 보험판매채널이 등장 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24시간 상담이 가능하고 불완전판매가 없으며 수당을 제거해서 비용문제도 해결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만약 의학기술의 발달로 알약 하나면 장기를 모두 검색해볼 수 있고, 피 한 방울만 있으면 어떤 병에 걸릴지 모두 예측 가능하다면 보험산업이 존재할 수 있을까? 유전자 혁명과 같은 기술의 발달 된다면 모두 미리 알고 보험에 가입해서 보험금을 타간다면 보험회사는 파산할지도 모른다.   영화 ‘백투더퓨쳐’나 ‘007’시리즈와 같은 영화에서 상상했던 미래시점인 지금 상당수 기술 개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