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의료, 제약, 기기 등 이종산업 결합 ... 디지털헬스케어 미래

이미지
데일리메디는 지난 12일 병원, 제약, 의료기기 등 헬스케어 전 산업 분야 종사자의 역량 강화와 전략 수립을 지원키 위해 산업전문가들을 초빙하여 '2023 대한민국 헬스케어 포럼'을 개최했다. 이동훈 대표 "메디치 효과, 셀프메디케이션 등 디지털 트렌드 주목"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가 의료 · 제약 · 바이오 · 기기 산업의 결합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 대표적 사례가   메디치 효과 (Medici effect) 다 . 산업 결합이 디지털헬스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이는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까지 이어지게 된다는 해석이다.   코이헬스케어 이동훈 대표는 최근 데일리메디가 주최한 '2023 대한민국 헬스케어 포럼'을 통해 ‘컨버전스 디지털 헬스케어’를 발표하고 4차산업의 핵심인 디지털헬스 융합을 소개했다.   메디치이펙트 서로 상관없는 것들이 모여 가치 및 시너지를 만든다는 의미다. 대표적 성공사례가 바로 카카오 모빌리티다. 카카오톡을 기반 플랫폼을 통해 콜택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론칭했다.   이동훈 대표는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혁명을 토대로 태동한 마켓 트렌드를 알아야 한다”며 “4차 산업의 특징은 사물 지능화, 개인 맞춤형, 초연결성, 산업 간의 경계 파괴”라고 말했다.   결국 이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표 영역이 바로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이다. 4차산업의 핵심 요소를 모두 갖춘 만큼 기타 산업들과의 융합은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금융, 보험, 통신, 제약‧바이오, 클라우드, 주거 서비스, 상거래, 식품,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산업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GS 건설과 혈당측정기 제조사인 필로시스의 협업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언뜻 보면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GS건설이 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한 미래형 헬스케어 개발을 위한 협력이다.   주요 기능은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과 디지털헬스케어

이미지
개인맞춤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들의 대다수가 개인에게 제공하는 공통적인 솔루션은 개인맞춤영양, 식이습관 개선 또는 운동을 하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개인맞춤영양을 과학적인 근거 기반 개인 건강 상태별로 분석하여 해결 방안과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은 개인의 유전체, 대사체,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생활습관, 임상정보 등의 빅데이터와 과학적 방법을 통해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영양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정밀영양은 개인의 유전적 특성, 생활습관,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개인별 맞춤 영양을 제공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디지털헬스케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찾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분야이다. 정밀영양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정밀영양을 통해 개인별 맞춤 영양을 제공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주요 정밀영양 기업 중으로는 23andMe, Habit, InsideTracker, Nutrigenomix, Thorne이 있으며,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런한 글로벌 시장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국내에서도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을 산업계, 학계가 모여 협력하여 발전시키고자 정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주무관청으로 사단법인 정밀영양협회를 2023년 2월에 설립하였다. 협회는 의료계의 오상우 교수(동국대 일산병원)와 식품영양산업계의 모진 대표(주식회사 데임즈)가 공동회장으로 선출되었고, 사무국장은 디지털헬스케어 산업계의 이동훈 대표(주식회사 코이헬스케어)로 임명되었으며, 의료계, 식품영양학계 교수들과 유전자분석, 디지털헬스케어, 식품건기식, IT기업, 제조산업, 푸드테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산업계가 회원으로 참여하였다. 지금까지 한자리에 모이기 어려웠던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논쟁이되고 있는 이유

이미지
오랜 기간이 걸려 6월 15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 국회 정무위 통과하였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21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줄이고, 청구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은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금 청구 편의를 높이고, 보험사들의 보험금 지급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 보험금 청구를 위해서는 심사 청구, 심사 단계, 보험금 지급 단계에 소비되는 물리적(증명서 발급서류 확인, 증명서 발급 비용 등), 시간적(증명서 발급을 위한 병의원 재방문, 청구를 위한 증명서 준비 시간으로 인한 보험 심사 기간 축소 등) 비효율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에 금융소비자연맹, 한국금융연구원, 한국보험연구원 등 보험업계에서는 찬성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기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험금 청구 편의를 높이고, 보험사들의 보험금 지급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에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외 일부 소비자단체는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 보험사들이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거나 지연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환자의 건강정보가 보험사에 전자적인 형태로 넘어가 악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서 짚어볼 필요가 있는 점들이 있다. 첫째 실손보험 심사청구와 심사를 전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심평원에서 전자적 형태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라는 업무는 이미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 분야에서 EDI라는 시스템으로 오래전부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시간적, 물리적인 효과는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환자 정보가 민간보험사들에게 넘어가 의료민영화에 발단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자동차보험을 통해 자동차 사고가 나면 대물과 대인(신체 손상으로 병의원

원격의료 플랫폼 기업들의 위기가 시작된다

이미지
텔라닥은 2002년 미국에서 설립된 원격의료 기업이다. 이 회사는 미국 전역에 걸쳐 7,85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440만 건의 비대면 진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텔라닥은 미국에서 가장 큰 원격의료 기업 중 하나이며, 북미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텔라닥은 의사, 간호사, 정신 건강 전문가 등 1만 명의 의료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의료진들은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 약 처방도 할 수 있고, 텔라닥은 또한 환자가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재발급하거나, 건강 기록에 액세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텔라닥은 원격의료 산업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이 회사는 원격의료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왔으며, 미국의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텔라닥은 2015년 12월, 미국의 의료 IT 기업인 헬스서버(Healthgrades)를 인수했으며, 이 인수는 텔라닥이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또한 텔라닥은 2018년 12월, 미국의 비상 의료 서비스 기업인 AMITA Health를 인수했다. 이 인수는 텔라닥이 환자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텔라닥은 2020년 12월, 미국의 의료 IT 기업인 Livongo Health를 인수했으며, 이 인수는 텔라닥이 만성 질환 환자를 관리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제 COVID-19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였을때 가장 앞선 원격의료 산업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크게 성장하였다. 현재 이 회사는 원격의료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왔으며, 미국의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원격의료 플랫폼 시장에 국내 원격의료 플랫폼 사업자들과 전통적인 보건의료사업자들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