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ICT인 게시물 표시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법 (건강 검진 + 소득 분석 = 보험료 뚝 떨어져)

이미지
최근 금융권에서 개인정보 인식이 안되는 범위 내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지난 글에 기재했던 내용처럼 금융권이 기존에 금융 상품에 사용했던 개인 정보인 개인 소득, 신용 정보, 건강 정보(보험 상품의 경우)를 활용해서 상품 개발, 판매에서 비금융 정보의 개인정보(의료 정보, 교통 정보, 날씨 정보 등)로 확대함으로써 진정한 핀테크(기술+금융) 산업으로 첫 발을 딛는 것이다 당연히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도 필요할 것이며, 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공하면 금융권에서는 핀테크, 의료 분야에서는 헬스케어가 되는 것이라 본다. 핀테크, 헬스케어 2가지의 공통점은 고객에게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궁극적으로 라이프 케어를 지향한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서비스 디자인을 하면서 필요한 자질은 시장은 이종 산업간의 융합을 원하기에 한 분야의 전문성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두루 경험을 하여 이종 산업을 하나로 융합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 할 수 있는 능력, 즉 코디네이터와 같은 능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코디네이터와 같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많이 모이면 기사에 나온 문제점인 융합 상품의 수익 모델(융합 서비스 모델이 이종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적은 전문가가 그렸기 때문)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다. 서비스 모델을 그리기 전에 상대방에 대한 이해부터 하는 것이 디자인의 첫 걸음이라 생각한다.   [ 기사 원문 ] #사례 1.  30대 직장인인 A씨는 1000만원짜리 적금 만기를 앞두고 어떻게 할지 고민이다. 다시 적금을 넣자니  금리 가 너무 떨어진 것 같고, 주식을 하자니 불안하다. 다음달에는 아이도 태어날 예정이다. A씨는 이 모든 고민을 온라인에서 해결하기로 했다. 매달 들어오는 월급 액수와 현재 통장 잔액, 지출 내역서 등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자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인 ‘로보 어드바이저’가 금리 변동 상황과 실시간 금융 동향을 분석해 ‘처방전’(추